웹사이트를 pc에서만 만드는 것은 아니다
요즘은 대부분 스마트폰, 태블릿pc와 같은 기기를 많이 사용하기에
html/css를 작성할때 호환성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야 한다
그럴 때 사용하는것이 css mediaquery(미디어 쿼리) 반응형 레이아웃이다
일반적으로 만든 웹사이트 css
예를 들어 여기서 페이지 비율을 줄였다, 늘렸다 하게 되면
폰트 사이즈라던지
아이콘의 가로정렬 등
화면의 비율은 모바일인데 pc 비율을 계속 유지하다 보니 모양? 이 상당히 예쁘지 않다
그럴 때 미디어쿼리를 사용해 보자
코드
@media screen and (max-width: 1200px) {
.main-title {
font-size: 40px;
}
}
보통 css 제일 하단에 사용한다 그래야 말끔하게 작동할 수 있다
여기서 max-width 1200px은
1200px 가진 비율의 이하는 모두라는 뜻
즉 1200px이하는 내가 지정한 font-size가 보이게 된다
이제 비율을 줄여 보게 되면
폰트사이즈가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
이런 걸 통해
1200px
768px 등
단계적으로 미디어 쿼리를 주어 내가 원하는 css를 넣을 수 있는데
이를 "브레이크 포인트"라고 한다
다양하게 바꿀 수 있다
끝!
'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SS] box-sizing : border-box (0) | 2022.01.27 |
---|---|
[CSS] flex-box(플렉스)로 쉽게 정렬하기 (0) | 2022.01.26 |
[CSS] pseudo-class hover(호버), focus(포커스), active(액티브) (0) | 2022.01.23 |
[CSS] link로 관리하기 수월하게 하기 (0) | 2022.01.23 |
[CSS] a tag(태그) style(스타일) 효과 없애기 (0) | 2022.01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