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unction multiply(a, b = 1) { // a와b는 1이다
return a * b;
}
console.log(multiply(5, 2)); // a와 b에 5와 2를 집어 넣은것이다
// expected output: 10 // 곱하기니까 값은 10
console.log(multiply(5));
// expected output: 5
보통 매개변수라고도 하고 인자라고 불리는 거 같다
위에 코드를 보면
function multiply(a, b = 1) 여기서 (a , b) 부분이 피라미터가 되는 것이다
return이란 함수 안에 있는 명령을 중지하고 "return값을 반환해라"
하는 의미인데 자세한건 return을 작성할 때 알아보겠다
그렇게 return( a*b )
즉 multiply(a,b = 1) 1은 a와 b가 1이라는 뜻
리턴( a 곱하기 b )을 한다고 한다 그렇게 되면
console.log(multiply(5,2)); a * b에 5*2가 들어가
나오는 값은 10이 된다
이러게 이론은 좋다 쉽고 다 넘어가는데
문제는 이걸 실제 함수를 만들어 응용하면서 return값을 제대로 받아주는 게 막상 해보면 처음 하는 사람들은 쉽지 않다는 것!
출처 - MDN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/javascript] addEventListener 애드이벤트리스너 ! (0) | 2022.02.14 |
---|---|
[JS / javascript] function함수 parameter(파라미터) 인자 (0) | 2022.02.09 |
[JS / javascript] jquery(제이쿼리) !! (0) | 2022.02.09 |
[JS] javascript의 시작! (0) | 2022.02.07 |
[javascript] Rest parameters (added in ES6) (0) | 2022.01.23 |